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자바스크립트
- 디프만
- CLI
- Depromeet
- OS
- spring boot
- js 개발자라면 알아야하는 핵심 컨셉
- Git
- 마블 다이어그램
- RxJava
- Round Robin
- CPU Scheduling
- Hot Publisher
- js
- github
- 멘토링 후기
- Cold Publisher
- 큐시즘
- Hot Publish
- 에프랩
- Observable
- 건국대학교
- 파이썬
- 버전관리
- time slice
- spring
- OOAD
- 생활코딩
- flab
- 원격 저장소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Spring Cache (1)
글쓰는 개발자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6mkNu/btrejVL6aDI/3nkQhGsafRObnujA0owjak/img.jpg)
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프링 캐시를 적용하면서 읽기 성능을 향상했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. 나름대로, 캐시란 무엇인가에 대해 정의를 내려보았습니다. 데이터의 실시간성을 약간 포기하고, 큰 성능적 이점을 얻는 것 물론 캐시는 이미 공식적인 정의가 존재하지만, 기존의 정의에서는 '실시간성을 포기한다'라는 trade off를 추론을 통해 알아내야 했기 때문에, 그 부분까지 확실하게 함께 담아 정리해보았답니다. 😄 그럼, 캐시를 적용하기까지 과정은 어땠는지, 어떻게 캐시를 통해 성능을 개선했는지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목차 캐시? Spring Cache Abstraction Local Cache vs Global Cache 캐싱 적용하기 캐싱 & 성능 확인 캐시? 위키백과에서 찾아본 캐시의 정의는 다음과 같..
Project/Sell-everything
2021. 9. 7. 20:33